동대문구 개발호재 9가지 알아보기

동대문구 개발호재에 대해 빠르게 알아봅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서울은 늘 핫한 입지입니다. 그렇지만 서울은 너무 비싸서 늘 바라만보게 되는데요.

서울에서도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고,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는 동대문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량리역 주변 개발 및 GTX-B 노선 계획 등으로 뜨거운 감자인 동대문구의 개발호재를 알아보겠습니다.

 

1.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GTX-B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은 인천 송도국제도시에서 경기도 남양주 마석까지 수도권 서남부와 동북부를 이을 예정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입니다. 통행량이 많은 인천~경기권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부담 완화를 위해 서울 도심인 용산역과 연결하며, 중앙선, 경춘선 등 일반열차의 접근성 또한 용이하게 합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이 건설이 완료되면 인천과 서울 도심지인 여의도, 용산으로의 교통편의성이 증대되며, 본건 사업지 주변의 청량리역을 교통 중심지로 만드는 개발계획일 것이라 기대합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 건설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GTX-B노선)
사업구간 송도역 ~ 마석역 (약 80.1km)
사업규모 신설: 59.84km / 경춘선 공용 22.86km /정거장: 13개소 (신설10개소, 기존역 개량 3개소) / 차량기지: 1개소 (남양주 화도읍 일원)
공사/운영기간 공사기간: 60개월(2022.12 ~ 2027.12) / 운영기간: 30년
사업비 5조 9,038억원 (건설사업비 4조1,880억원)
사업추진방식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GTX-C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은 경기도 회천 신도시 덕정역과 수원역을 이을 예정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며, 수도권 교통난 해소와 장거리 통근자들의 교통부담 완화를 위해 강남으로의 교통망이 부실한 경기 동북부 및 서울 동북부에서 교통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사업입니다. 서울시내 주요 거점역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를 건설하여 수도권 교통혼잡 완화 및 수도권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목적으로 추진중인 사업입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C 노선 건설이 완료되면 서울시 강남구 삼성역과 경기도 수원시, 양주시를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 서비스 제공을 통해 수도권 동북부 지역의 교통 혼잡 완화 및 통행시간 절감이 기대됩니다.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노선)] 

구분 내용
사업명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GTX-C노선)
사업구간 수원역 ~ 덕정역 간(약 74.8km)
사업규모 신설: 37.1km / 기존선 공용 37.7km /정거장: 10개소(운영 10개소) / 차량기지: 1개소 (덕정역 인근)
사업시행자 현대건설 컨소시엄
공사/운영기간 공사기간: 60개월(2022.12 ~ 2027.12) / 운영기간: 40년
사업비 4조 3,857억원 (건설사업비 4조1,880억원)
사업추진방식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

 

3. 면목선 개발계획

청량리역은 향후 GTX-B, C 등과 면목선까지 합하면 총 6개 노선이 몰리는 교통 핵심지입니다. 면목선 개발시 3개역(청량리역, 면목역, 신내역)이 환승 가능하며, 하루 9만 명이 넘는 인구가 이용할 수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거장 12개소를 편도 22분만에 걸쳐 운행되며, 본건 사업지 기준 동북권의 교통환경에 크게 기여할것으로 예상됩니다.

[면목선 개발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면목선 개발계획
공사규모 9.05km
사업구간 12개소(신내역 ~ 청량리)
사업일정 2014~2027년
사업비용 8,894억
노선도 면목선

 

4. 동북선 개발계획

동북선 도시철도는 성동구(왕십리)에서 노원구(상계)까지 서울 동북권을 잇는 총 연장 13.4km의 노선이며, 전 구간 지하에 건설됩니다. 개통 후 동북선 도시철도는 노선 구간을 낮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교통수단이 되어, 승용차와 기존 대중교통을 이용하던 수요 중 일부가 도시철도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총 16개의 정거장 중 7개는 환승 구간으로, 연결된 다른 9개의 서울 도시철도 노선을 통해 서울 주요 업무지구인 도심(CBD), 여의도(YBD), 강남(GBD) 권역까지 오갈 수 있는 접근 편익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동북선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동북선 개발계획
공사규모 13.4km
사업구간 상계역~왕십리역(정거장16개소, 차량기지1개소)
사업일정 ‘22~26’
사업비용 1조6,162억원

 

5. GTX 청량리역 광역 환승센터 개발

GTX-B 및 GTX-C 노선의 완공과, 청량리역의 복잡한 환승동선을 개선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으로 국토교통부는 2020년 10월 ‘청량리역 광역환승센터 종합구상’을 발표하였습니다.

청량리역은 1호선, 분당선 등 7개 철도와 46개 버스노선 이 교차하는 대규모 환승역으로 2020년 기준 일 평균 15만명이 이용하며, GTX 등으로 2030년 약 33만명의 인구가 이용할 것이라 예측되는 대표 교통 거점입니다. GTX-B, C의 수평환승시스템을 구현하여 GTX 접근성을 개선시키고, 일자리, 문화, 주거가 어우러지는 중심기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GTX 청량리역 환승센터 개발]

구분 내용
사업명 청량리역 환승센터 개발
위치 청량리역
주요내용 – GTX-B, C 수평환승시스템 구현

– 버스 및 기존철도의 GTX 접근성 등을 개선한 연계교통체계 구축

– 일자리∙문화∙주거가 어우러지는 복합개발로 중심기능 강화

추진시기 GTX 완공 후 (선제적 대비)
항후계획 – GTX 개통과 함께, 모든 교통시설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법정계획 반영 등을 통한 이행력 확보

– 철도 확충과 연계한 청량리역 일대 통합적 관리계획 수립

 

6.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본 사업은 동부간선도로 중랑천구간과 영동대로구간을 지하화 하는 사업으로, 서울 동북권의 교통체증을 해결을 하고, 도로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4공구 사업을 우선시공하고, 2028년부터 1~3공구 공사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구분 내용
사업명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위치 중랑천구간 성동구 송정동~ 노원구 월계동
영동대로구간 강남구 대치동~ 청담동
사업구간 L=13.50km (양방향 4~6차로 신설)
사업기간 2022~2034
계획내용
구분 내용
중랑천구간 1공구 노원구 월계동~ 중랑구 묵동(양방향6차로)
2공구 중랑구 묵동~ 중랑구 면목동(양방향 4차로)
3공구 중랑구 면목동~성동구 송정동(양방향 4차로)
사업비 1조6,488억
주요시설 나들목 5개소(월계IC, 월릉IC, 중랑IC, 장안IC, 군자IC)
영동대로구간 4공구 청담동~강남구 대치동(양방향 4차로)
사업비 2,534억
주요시설 나들목1개소 (대치IC)

 

7. 광운대역세권 미래복합도시 개발 사업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은 역 주변 물류부지 14만816㎡에 상업시설, 명품주거시설, 공공시설을 복합 개발하는 사업으로 상업업무용지에는 최고 49층 높이의 랜드마크 건물과 호텔, 업무시설, 상업시설이 들어서면서 일자리 창출과 대규모 상권 조성을, 복합용지에는 약 2,700세대 규모의 주상복합 아파트단지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광운대역세권 미래복합도시 개발 사업] 

구분 내용
사업명 광운대역세권 미래복합도시 개발사업
사업위치 광운대역세권 일대(월계동 85-7일대)
사업면적 148,166.1㎡
사업비용 2조7,000억
사업기간 ‘22~26’
추진경위 – ’17.06’ 서울시-노원구-코레일 MOU 체결

– ’17.09’ 우선협상자 선정 : 현대산업개발

– ’21.07’ 항운노조-현대산업개발 보상 이행 합의 체결식

– ’21.12’ 사일로 해체 착공식 개최

개발방향
구분 내용
공공용지 실내체육관, 라이프스타일 도서관, 청년창업지원 등 지역주민 복합문화공간 조성
상업업무용지 초고층 랜드마크에 호텔, 업무, 상업 등 일자리 창출 동북권 경제 중심지 구축
복합용지 거리공원, 열린 광장, 테라스형 상가 조성으로 문화, 쇼핑, 힐링 등 다양한 테마의 복합공간 조성

 

8. 답십리 자동차 부품상가 재개발 정비사업

1982년 조성된 답십리자동차 부품상가는 국내 최대 규모로 약 740여개의 도소매점이 밀집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1년 10월 1일 동대문구는 조합인가를 하였고, 답십리자동차부품상가에 대한 도시정비형 재개발정비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진행되고 있어 지역 경제활성화에 크게 기여할것이라고 예상됩니다. 

[답십리 자동차 부품상가 재개발 정비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답십리자동차부품상가 도시정비형 재개발정비사업
위치도 답십리동 952번지 일대
지역지구 일반상업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구역면적 17,914m2
건축규모 지하8층~지상 29층 (7개동)
연면적 179,241.6m2
건페율/용적률 21.01% / 799.87%
토지이용계획
구분 명칭 면적 구성비 비고
정비기반시설 등 도로     2,125 11.86%
공원     1,695 9.46%
소계     3,820 21.32%
획지 획지1     1,887 10.53% 업무시설 및 판매시설, 근생시설
획지2     4,294 23.97% 공동주택 및 판매시설, 근생시설
획지3     4,840 27.02% 공동주택 및 판매시설, 근생시설
획지4     3,073 17.15% 공동주택 및 판매시설, 근생시설
소계    14,094 78.68%
용도
구분 면적 비율 비고
주거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1,695 9.46%
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16,219 90.54% 공원
합계 17,914 100.00% 획지 등
세대수 공동주택 603세대 (임대118세대 포함)

 

9. 강북횡단선

본 사업은2019년 2월 서울시에서 발표한 ‘제2차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 새롭게 포함된 경전철 노선으로 서울의 도시철도 취약지역인 서남권과 서북권, 동북권의 철도 서비스 제고를 통해 열악한 대중교통 환경 개선 및 지역균형발전 노선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청량리역~목동역 구간을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경우 약 60분이 소요되는데 반해, 강북횡단선이 건설되면 40분, 급행기준으로는 30분이면 통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강북횡단선] 

구분 내용
사업명 강북횡단선 건설사업
사업구간 청량리역~목동역
사업규모 연장 25.72km(정거장 19개소)
사업비용 2조844억
추진방식 재정사업
사업주체 서울특별시
사업기간 ‘23~29’(예정)

 

 

서울 이외의 지역의 개발호재에 대해서도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경남 김해시 개발호재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