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시 개발호재 11가지 알아보기

경남 김해시 부동산 개발호재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1. 신문1지구 도시개발사업  

신문1지구는 김해관광유통단지 및 서김해일반산업단지, 율하 신도시 등 급속한 인구증가에 따른 개발압력이 가중되는 지역으로 지역민들의 주거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기여하고 도시기반시설의 조기확보에 따른 쾌적한 도시환경의 조성과 공공복지 증진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문1지구 도시개발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신문1지구 도시개발사업
사업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신문동 374번지 일원
사업시행자 신문1지구 도시개발사업조합
사업기간 2021.08.13 ~ 2025.08.12
사업면적 619,953㎡(189,000평)
사업비 2,433억원(민간자본)
공정률 20%(2023.06 기준)
신문1지구

계획구역도

신문1지구

위치도

 

 

2. 장유신문지구 도시개발사업  

본 사업은 경상남도 김해시 신문동 26-8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건 사업지 인근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은 김해관광유통단지, 서김해일반산업단지, 율하 신도시 등 개발로 인해 급속한 인구증가로 인하여 새로운 택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장래 계획적 및 체계적인 도시개발을 도모하여 지역민들의 주거생활 안정과 복지 향상을 기여하고 도시기반시설의 조기 확보에 따라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 및 지역주민들의 공공복지 증진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유신문지구 도시개발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장유신문지구 도시개발사업
사업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신문동 26-8번지 일원
사업시행자 장유신문지구 도시개발사업 조합
사업기간 2020.04.03~2023.12.31
사업면적 556,561㎡(168,359.70평)
사업비 2,107억원(민간자본)
현공정률 36%(2023.06 기준)
토지

이용계획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
주거용지 단독주택    119,359 21.4% 점포주택 포함
공동주택    120,838 21.7%
준주거시설    100,539 18.1%
소계    340,736 61.2%
도시기반
시설용지
도로    129,583 23.3%
주차장       6,700 1.2% 5개소
공원     25,879 4.6% 3개소
녹지     28,812 5.2%
유수지     10,619 1.9% 1개소
학교     14,232 2.6% 1개소
소계    215,825 38.8%
합계    556,561 100%
장유신문지구

계획구역도

장유신문지구

위치도

 

 

3.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본 사업은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4번지 일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김해용두지구 도시개발 사업은 도시기능과 편의시설을 갖춘 숲세권 대단지 공동주택으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및 사업영속성 확보를 통한 공사 지속경영기반 마련과 용두산 보존 및 근린공원 조성을 통한 도시기반시설(공원)을 확충하여 삶의 질 향상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타당성 조사용역을 완료하였고, 향후 고시개발구역 지정·고시 및 개발계획 승인, 2023년 10월 공사 착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 사업지와 인근 개발지역임에 따라 향후 인프라 공유를 통한 시너지 창출로 지역주민들의 편의증진이 예상됩니다.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김해 용두지구 도시개발사업
사업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내덕동 산64번지 일원
사업시행자 경남개발공사, 김해시도시개발공사
사업기간 2022~2026
사업면적 469,483㎡
사업비용 2,825억원
토지이용계획
구분 면적(㎡) 구성비 비고
주거용지 공동주택 209,202 44.6%
준주거시설 6,581 1,4%
소계 215,783 46.0%
상업시설용지 8,620 1.8%
도시기반

시설용지

도로 40,343 8.6% 보행자도로 811㎡ 포함
주차장 1,736 0.4%
학교 26,000 5.6% 초등1개교/고등 1개교
공원 149,204 31.7%
녹지 27,797 5.9%
소계 245,080 52.2%
합계 469,483 100%
위치도
토지이용

계획도

 

 

4. 부전~마산 복선전철 건설

본 사업은 부산 부산진구에 위치한 부전역과 경상남도 창원에 위치한 마산역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부산 서부 경남권 지역주민 교통편의 제공과 남해안 일대 공업단지 연결, 관광자원 개발 등 남해안 철도망 확충으로 철도수송 효율을 증대하고 동해남부선, 부산신항 배후철도, 경전선과 연결하여 동남권을 광역경제권으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부산에서 창원이나 진주, 김해 장유 등 주요 도시를 갈수 있는 대중교통 수단은 시외버스 밖에 없는 상황이므로 부전~마산 복선전철이 완공되면 본건 사업지 인근의 장유역을 경유하여 경상남도 주요 도시의 교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부전~마산 복선전철 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부전~마산 복선전철 민간투자시설사업
사업위치 부산진구, 사상구, 강서구, 김해시 6개동, 2개면
사업시행자 스마트레일주식회사, 국가철도공단
사업비 1조 5,766억원
사업면적 수용 937,309.70㎡, 사용213,414.42㎡
노선연장 32.7km (신설구간: 30,148.9m, 공유구간: 2,551.2m)
사업기간 2014.06.27 ~ 2024

 

 

5. 김해 도시철도(김해트램)

본 사업은 김해 교통망 해소를 위해 추진되고 있는 도시철도 사업으로, 경남도에서 신청한 김해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회을 2023년 5월 국토교통부가 승인하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을 진행중입니다.

김해시는 추경 예산을 확보하면서, 2023년 8월 기준 사업타당성용역을 추진중에 있으며, 사업타당성 용역 완료 후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 사업 선정 신청을 결정할 계획으로 2031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해 도시철도(김해트램) 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김해 도시철도(김해트램) 구축사업
사업기간 2023~2031
사업내용
구분 노선 구간 연장(km)
김해1 단선 장유역~주촌~수로왕릉역 9.38
김해2 복선 장유역~율하지구~장유역 15.80
김해3 단선 신문동~봉황역 8.12

 

 

6.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 신설사업 

본 사업은 부산신항의 배후도로인 제1배후도로가 항만 물동량의 증가 및 국제산업물류도시 등 주변 지역 개발사업 가속화로 인하여 교통체증이 심화되어 우회도로 조기 건설을 통해 지역주민 교통편의 제공 및 지역 생활권간 연계 강화와 부산, 경남 권역의 균등한 교통 서비스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사업 완공시, 국가간선도로망 남북5축 지선구간으로 부산신항과 김해공항, 국제산업물류도시 등을 연계하여 교통물류지원 및 도로망 체계의 교통 기능이 향상되며 국제산업물류도시, 에코델타시티 등 부산광역시 강서구 지역의 개발촉진 등 지역경제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 신설사업] 

구분 내용
사업명 부산신항~김해 고속도로 신설사업
사업위치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김해시 활천동 구간
사업연장 12.82km (왕복 4차로)
사업기간 2020~2029(예정)
사업비용 1조177억원
사업기관 국토교통부
사업내용 1공구- 교량 1개, 터널 3개소, 송정 지하차도 1개

2공구- 교령 6개, 분기점 및 나들목 1개소, 램프쇼 4개소

3공구- 교량6개소, 나들목 1개소, 램프교 9개소

 

 

7. 동김해IC~식만JCT간 광역도로 건설

본 사업은 남해고속도로 및 국도 14호선의 지속적인 교통 정체해소 및 기존도로망의 교통 혼잡을 개선하여 물류비용 절감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합니다. 부울경 메가시티의 발판이 되는 광역도로가 될 예정이며, 2019년 착공을 시작하여 2023년 개통이 될 예정입니다.

현재 부산 신항에서 김해서부 지역으로 통행하는 차량들은 5km 정도를 우회하여 진입하고 있어 교통 체증이 유발되고 있어 향후 도로 완공시 물류비용 절감을 통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보입니다.

[동김해IC~식만JCT간 광역도로 건설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동김해IC~ 식만JCT간 광역도로 건설사업
사업위치 김해시 어방동(동김해IC)~ 부산광역시 강서구 식만동(식만JCT)
사업시행자 김해시
사업기간 2019~2023
사업비용 809억원
사업내용 L=4.6km(본선 1.3, 연결로 3.3) B=20.5~35.5m(4~8차로)

 

8. 김해종합운동장 조성계획

본 사업 김해종합경기장은 2024년 전국체전의 주경기장이 될 예정이며, 전국체전 이후에도 공공 및 민간시설의 스포츠시설 활성화 유도를 도모하여 복합문화센터로 조성될 예정입니다.

2024년 4월 완공을 목표로 국비와 지방비 약 1,793억원이 투입되어, 복합체육공간 랜드마크로 발돋움하여 지역주민 생활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김해종합운동장]

구분 내용
사업명 김해종합운동장 조성계획
사업위치 김해시 구산동 1049-2일원
사업면적 연면적 6

8,370㎡ (지하5층~지상3층)

사업기간 2019~2024.04
사업비용 1,793억원
주요시설 주경기장, 관람석 15,066석, 주차면 368면, 주차빌딩 1동(696대)

 

 

9. 장유여객터미널

본건 사업에 위치한 김해시 장유지역은 여객 터미널이 없어 장유1동행정복지센터, 장유농협, 대동공동주택 3곳에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환승 정류장이 분산되어 교통이용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건 사업 완공 시, 장유지역 주민들은 광역권 대중교통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교통이용에 대한 편의성 향상과 상업시설 입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로 전반적인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장유여객터미널 건설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장유여객터미널 개발사업
사업위치 김해시 장유무계지구 도시개발구역 7BL
사업시행자 주식회사 삼호디엔티
사업기간 2021~2023.12 (예정)
건축연면적 4만 6,717㎡

– 상업시설: 4만 2,133㎡

– 터미널: 4,584㎡

사업내용 시외버스터미널(지하1층~지상4층), 메가시티몰 상업시설(지하2층~지상5층), 주차장(393대)
사업비용 840억원

 

10. 김해시 무계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본 사업은 김해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이용하여, 특화 콘텐츠 발굴 및 문화, 예술, 체험, 여가 등의 거점마련을 통해 도시경쟁력 확보와 도심기능 강화 및 공공 기능 집적화, 지역 경제 성장화를 통한 정체성 강화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본 사업은 주로 장유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무계 문화마을 조성 사업, 무계 메모리얼 플랫폼 조성 사업, 장유도가 및 창의마켓 조성사업, 복합커뮤니케이션 조성사업 등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해시 무계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구분 내용
사업명 김해시 무계지구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업위치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로 287-22일원
사업면적 210,000㎡
사업기간 2018~2023
사업비용 280억원(국비 150억원, 도비30억원, 시비 100억원)

 

 

11. 조만강 생태하천 복원사업

본 사업은 하천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자연친화형 하천 조성 및 하천오염 방지와 생태네트워크 복원과 주촌선천지구, 이지일반산업단지, 서김해일반산업단지 등 도시개발로 인한 생태적 복원을 목표로, 생태호안, 생태탐방로, 생태보전데크 등 설치하여 자연친화적인 하천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227억원의 사업비용이 투입되어 2023년 복원사업 완료를 계획 중에 있으며, 본 사업 완료 시 조만강의 수질 개선에 따른 자연 생태 환경조성 및 사람들이 쉬고 즐길 수 있는 강으로 탈바꿈하여 거주민의 자연 친화적 거주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입니다

[조만강 생태하천 복원사업 개요]

구분 내용
사업명 조만강 생태하천 복원사업
사업위치 김해시 주촌면 원지리 ~ 명법동 일원
사업시행자 김해시
사업기간 2019~2023.12
사업비용 227억원
사업내용 생태하천복원 L=5.36km(주촌면 원지교 ~ 명법동 정천교)

– 수생태벨트 조성 10km, 생태호안 10,000㎡, 생태탐방로 5km, 수질개선 1식

 

이상으로 경남 김해시 개발호재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경남 김해시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개발호재도 알아보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보세요!

 

<서울시 동대문구 개발호재 9가지 알아보기>